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LA 주재원 탐구생활] 퇴근후 아이와 오순도순…고민도 쌓여요

특히 LA 지역은 주재원들에게 인기가 높다. 화창한 날씨와 쾌적한 생활 환경, 자녀 교육 등 최적의 근무지로 손색이 없다. 이에 반해 고민도 많다. 주재원들은 다달이 빠져나가는 렌트비 부담에 높은 물가, 한국에서 밀려오는 손님맞이에 정신이 없다. 행여 주재원 근무로 인해 본사 인사에서는 밀리지는 않을까, 미국 생활에 익숙해진 아내와 아이가 기러기 생활을 하자고 조르면 어떻게 할까 노심초사한다. 한국 주재원들의 LA생활을 들여다본다. 이름은 본인들의 요구에 따라 가명을 사용했다. ■첫번째 수다 : 직장 문화 … 칼퇴근 좋지만 밤낮 바꿔 일해요 한국 대기업의 주재원인 장모(45) 부장은 이제 LA생활 4개월이 됐어요. 장 부장은 오늘도 텅 빈 사무실 지키기에 여념이 없어요. 출근이 빨라요. 퇴근은 늦어요. 10년 넘게 오전7시 출근에 밤 12시까지 야근 생활이 몸에 밴 장 부장에게 아직 정시 출근 칼 퇴근은 낯설기만 해요. 보다못한 선배 주재원이 "너 때문에 다른 사람까지 피곤해진다"며 "일찍 들어가서 가족하고 시간 좀 보내라"고 핀잔을 줬어요. 마땅히 할 일도 없어 일찍 집에 갔더니 아이가 신기하게 쳐다봐요. 가족들과 둘러앉아 저녁도 먹었어요. 한국에서는 아이 얼굴 보기도 집에서 밥 먹기도 힘들었어요. 아이는 '아빠는 회사에서 사는 사람' 취급만 했어요. 서러웠어요. '내가 누구 때문에 이 고생을 하는데'. 하지만 주재원 생활은 달라요. 낯선 아빠 모습에 슬슬 피하기만하던 아이가 주말에 축구하러 가재요. 바가지만 긁던 아내가 상냥해졌어요. 하지만 한국에서 오는 손님맞이는 장 부장 일이에요. 이제 LA국제공항(LAX)까지는 신호등 숫자도 기억해요. LA 인근 관광 명소는 늘 머릿속에 저장돼 있어요. 캠핑 용품에서 골프 용품 유명 식당 리스트까지 장 부장의 차에는 없는 게 없어요. 손님이 오면 한국 본사 동향 파악도 잊지 않아요. 입사 동기의 새로운 프로젝트 소식이 자꾸 마음에 걸려요. 행여 주재원으로 있다가 동기한테 밀려 승진에서 누락될까 겁도 나요. 주재원 근무 자체가 '특혜'라는 시각이 강하기 때문이에요. 미국 직장 문화에 젖어있다가 변화가 빠른 한국으로 돌아가면 적응 못 할까봐도 걱정돼요. 그래서 가끔 한국에서 업무 협조 요청이 들어오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해요. 잊혀진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서. 한국 시차에 맞춰 일하는 게 힘들어요. 그래도 불만은 없어요. 적어도 아이와 아내 얼굴을 볼 수 있으니까요. ■두번째 수다 : 밤 문화 … 술잔 기울일 친구가 없어요 한국 종합상사 주재원 송모(39) 차장은 한국의 밤생활이 그립기만 해요. LA 인근 지역 술집은 새벽 2시면 문을 닫아요. 한국에서는 주구장창 술잔을 기울이고 있을 시간이에요. 미국에서 같이 술 마실 사람은 다 회사에 있어요. 이 마저도 맘 놓고 술 마시기는 쉽지 않아요. 회식이라도 하면 1차에서 끝나는 게 보통이에요. 혹시 2차 노래방까지 이어져도 한창 놀고 있다보면 주변에 아무도 없어요. 다 일찍 집에 가는 게 생활인가봐요. 선배를 붙잡고 한 잔만 더 하자고 졸랐어요. 하지만 대리 운전 비용이 만만치가 않데요. 한국은 서울 시내 1만원 공통인데. 미국에서 매일 술 먹고 대리 운전하면 매달 수 백 달러는 우습게 나온데요. 택시비도 아깝지만 술값이 너무 비싸요. 알아주는 주당인 송 차장은 소주 4~5병은 너끈히 비워요. 한국에서 소주 5병이면 비싸야 2~3만원인데 미국에서 소주 5병이면 최소 50달러가 넘어요. 거기에 세금도 붙고 팁까지 줘야해요. 송 차장이 혼자 안주 하나 놓고 술 마시면 100달러는 기본이에요. 엄두가 안나요. 송 차장은 고민 끝에 처자식이 기다리는 집으로 향했어요. 아쉬운 마음에 마켓에 들러 3.99달러짜리 소주 5병을 샀어요. 하지만 아쉬워요. 마땅히 술잔을 기울일 친구도 없어요. 한국에 있는 술 친구 광식이 생각이 간절해요. 밤은 긴데 할 일이 없어요. 심심해요. 외로운 밤이에요. "광식아~!" ■세번째 수다 : 생활 문화 … 체중은 늘고 지갑은 얇아져요 한국정부의 LA지역 공관 주재관인 이모(37) 씨는 늘어나는 체중 때문에 걱정이에요. 한국에선 출퇴근 때 지하철을 이용하며 꾸준히 걸었어요. 미국에선 차가 없으면 움직이질 못해요. 밤길은 특히 걷고 싶지 않아요. 걷는 사람도 많이 없어요. 집에서 아침 먹고 운전해서 출근하면 바로 점심을 먹어요. 퇴근하고 운전해서 집에 가면 저녁밥이 기다려요. 따로 시간을 내지 않은 이상 운동을 할 수가 없어요. 싼 가격에 무제한으로 맛있는 고기를 먹을 수 있는 음식점도 많아요. 고기의 유혹을 피할 길이 없어요. 꾸역꾸역 먹다보니 맞는 옷이 없어요. 소화제를 달고 살아요. 널려있는 식당 앞에서 다이어트는 작심삼일이에요. 자꾸 얇아지는 지갑도 스트레스를 줘요. 음식이 더 땡겨요. 환율이 요동칠 때 마다 가슴이 철렁해요. 재테크는 커녕 한국에 전세를 끼고 산 아파트 대출금 갚기도 빠듯해요. 남들은 속도 모르고 재외근무수당 받는다고 부러워해요. 매달 어김없이 빠져나가는 주택 렌트비만 2000달러가 넘어요. 아이들 학군때문에 싼 곳으로 이사를 갈 수도 없어요. 아이들은 자꾸 커서 의류비까지도 부담으로 다가와요. 배가 나와도 내 옷은 살 수가 없어요. 4인 가족이 먹고 입으려면 늘 마이너스에요. 그래도 미국에서 주재원 생활을 포기할 수는 없어요. 미국에서 만나는 공관이나 지상사 주재원들은 각 조직에서 '최고'라고 인정을 받는 사람들이니까요. 인적 네트워크를 쌓기가 좋아요. 오늘도 아내가 고기를 구워요. 입맛이 다시 살아나요. ■네번째 수다 : 교육 문화 … 기러기 아빠될까 걱정돼요 한국 굴지의 기업 주재원인 김모(42) 부장은 초등학생 아들만 보면 웃음이 나와요. 미국에 온 지 1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아들 영어 실력이 쑥쑥 늘어요. 김 부장은 하나도 못 알아듣겠어요. 그래도 좋아요. 아들은 한국에서 4개나 다니던 학원을 여기선 다니지 않아요. 무거운 숙제 부담을 벗어던진 아이는 매일 웃어요. 김 부장도 따라 웃어요. 하지만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에요. 교육만 생각하면 아이를 미국에 남겨두고 싶은 마음이 굴뚝이에요. 아내와 아이를 두고 한국에 가면 말로만 듣던 기러기 아빠가 되는 거예요. 렌트비에 교육비 생활비까지 계산하면 매달 최소 5000달러씩을 송금해야 해요. 월급쟁이에게 부담이에요. 그렇다고 한국에 데리고 가자니 아이가 적응을 못 할까봐 걱정이 되요. 한국에 있는 아이 친구들은 벌써 중학교 과정을 준비하고 있데요. 영어 하나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갖출 수 없어요. 오히려 수학이나 국어에 문제가 생겨 적응을 못하는 다른 주재원 아이 얘기를 들으면 남의 일 같지가 않아요. 한국의 입시 지옥 속에서 아이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아이를 위해 기러기 아빠가 될까. 김 부장은 오늘도 뜬 눈으로 밤을 보내요. 곽재민.신혜림 기자

2010-07-15

본지 100명 설문조사 "주재원 생활, 자녀교육이 엑설런트"

한국 정부나 한국 기업에서 LA로 파견돼 근무중인 주재원들은 가장 만족스러운 미국 생활로 '자녀 교육'을 꼽았다. 그러면서도 대부분 주재원들은 정해진 근무기간이 끝나면 한국으로 돌아가길 희망하고 있다. 이는 본지가 지난 8일~14일 LA 지역 공관원과 지.상사 주재원 등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6명(62%)은 '미국 주재원 생활에서 가장 만족하는 것은 자녀 교육'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설문 참여 주재원 가운데 70여명(70%)이 직장경력 19~22년차로 대부분 중.고교생 자녀를 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자녀 교육에 이어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여가 시간(15%) 쾌적한 생활 여건(11%) 근무 환경(8%) 등이 주재원 생활의 장점으로 거론됐다. 하지만 주재원 근무기간 이후에도 미국에 남기를 원하냐는 질문에는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 가운데 81%는 주재원 근무 종료 후 미국에 남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언어 문제(34%)와 높은 물가(28%) 때문이다. 주재원 박모씨는 "말도 잘 안 통해 답답하고 렌트비 등 비싼 물가를 고려하면 근무종료 후 한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더 나은 것 같다"라고 말했다. 파견 3년차인 김모씨도 "귀국시기가 닥치면 미국에 남기가 쉽지않다. 미국 현지 업체로의 이직이 쉽지 않고 최근 경기가 안 좋아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것도 여의치 않기 때문에 일단 한국으로 돌아가 타 지역 해외 근무나 이직 등 다른 기회를 모색하려는 경향도 강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재원 생활에 대한 기타 의견으로는 '초기 정착 제도가 있었으면 좋겠다' '주재원은 업무 영역과 사고 범위 확대 기회다' 등이 있었다. 곽재민.신혜림 기자 [email protected]

2010-07-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